
목 차
태풍이란 적도 부근의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중위도로 이동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말하며 열대 해역에서만 발생합니다. 중심부근의 최대 풍속이 17.2m/s를 넘어서는 강력한 폭풍우를 동반한 국지적인 기상현상입니다.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고 등압선과 온도분포, 강수분포가 원대칭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이 열대성 저기압을 부르는 명칭이 다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북태평양 지역에서는 태풍(Typhoon), 북대서양 지역에서는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양에서는 싸이클론(Cyclone), 호주지역에서는 윌리윌리(WillyWilly)라고 불립니다.
과거 1951 ~ 2022년간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은 모두 236개로 평균적으로 연 3.3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거쳐갔습니다. 북상하는 시기는 6 ~ 10월 사이이며, 7월 ~ 9월 중에 90% 이상이 집중적으로 통과했습니다.
태풍의 발생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67년의 39개였으며 가장 적었던 해는 2010년의 10개로 집계되어 있습니다.
태풍의 발달 및 이동
태풍은 발생기, 발달기, 피크기, 쇠약기의 4가지 단계를 거칩니다.
발생기에는 풍력계급 7 이하의 열대저기압에서 태풍이 되기까지의 시기로서 발생 이후 북위 10도까지를 말합니다. 발달기는 풍력계급 12까지의 기간입니다. 북위 10도를 넘은 이후 태풍의 눈이 형성되고 원형의 등압선을 가지며 중심기압이 하강합니다.
피크기에는 편서풍을 카는 전향점(북위 20 ~ 30도 부근)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구간에는 속도가 감소하고 중심기압의 하강이 멈추면서 태풍의 반경이 커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쇠약기는 전향 이후의 시점을 말하며, 편서풍을 타고 태풍의 이동속도가 빨라집니다. 중심기압은 점차로 높아지게 되고 편서풍의 기압골에 들어가서 온대저기압화가 이루어집니다.
지구의 북반구에서는 전향력의 영향으로 저기압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바람이 붑니다. 로스비파에 의해 기본적으로 북상하는 힘을 갖춘 태풍은 북동무역풍을 타고 북서진을 하다가 피크기에 전향점(위도 25도 전후)에서 편서풍대로 진입 후 북동진하게 됩니다.
기상도에서의 태풍의 등급 구분
기상도상 태풍은 최대 풍속에 따라 네 개의 등급으로 구분합니다.
▶ TD(Tropical Depression) : Beaufort 7 (최대 풍속 34 kts)
▶ TS(Tropical Storm) : Beaufort 8 ~ 9 (최대 풍속 34 ~ 48 kts)
▶ STS(Severe Tropical Storm) : Beaufort 10 ~ 11 (최대풍속 48 ~ 64 kts)
▶ T/TY(Typhoon) : Beaufort 12 (최대풍속 64 kts 이상)
태풍의 위험반원과 가항반원
태풍의 위험반원은 태풍의 진행방향에 대한 우측 반원이며 태풍의 진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이 합쳐져서 풍파가 심하게 발생합니다. 우측반원의 앞부분은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위치로 선박이 바람에 압류되어 태풍의 진로상에 놓일 가능성이 높아 위험사분원이라고도 합니다. 우측반원의 후방부는 삼각파의 범위가 넓고 커다란 파도가 존재합니다.
태풍진로의 왼쪽 반원을 가리키는 가항반원은 태풍의 진행방향과 바람의 방향이 달라서 위험반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파가 약하기 때문에 선박이 바람에 압류되더라도 태풍의 후면으로 빠지게 됩니다.
태풍의 중심과 선박 위치에 다른 풍향의 변화
선박이 태풍의 진로상에 위치했을 때는 풍향이 변하지 않고 기압은 하강하게 됩니다. 선박이 태풍의 위험반원에 위치했을 경우에는 풍향이 시계방향으로 순전하며, 선박이 태풍의 가항반원에 위치했을 때는 풍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반전하게 됩니다.
태풍이 근접하는 경우에 바람의 변화를 유심히 살피고 Dove법칙 등을 활용하여 태풍의 중심에서 멀어질 수 있도록 선박을 조선해야 하겠습니다.
태풍 중심의 위치는 Bouys Ballot 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바람을 등지고 양팔을 벌렸을 때 북반구에서는 왼손 전방 20 ~ 30도 방향에 태풍의 중심이 있고, 남반구에서는 오른손 전방 20 ~ 30도 방향에 태풍의 중심이 위치합니다.
태풍과 관련한 기상현상
전향력(코리올리 효과)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물체가 휘어지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가상의 힘을 말합니다. 북반구에서는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휘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Rossby 효과
로스비 효과는 전향력에 대한 관성의 비율을 말하며, 이 힘이 작을수록 전향력이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태풍이 북상하는 주요한 이유가 바로 이 Rossby 효과 때문인데, 태풍의 북측에서 작용하는 전향력이 남측에서 작용하는 전향력보다 크기 때문에 태풍은 기본적으로 북상하는 힘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Fujiwara 효과
후지와라 효과란 두 개의 태풍이 인접해 있을 때 서로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각각의 태풍의 진로와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말합니다. 저기압 상호 간에 다른 저기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효과입니다.
폭풍해일(Strom Surge)
태풍이나 강한 저기압이 내습할 때 해안에서 해면이 비 정상적 수준으로 상승하게 되어 폭풍우와 함께 해수가 육지로 침범하는 현상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러한 폭풍해일 현상은 지리적으로 만의 입구가 남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태풍의 진로가 만의 서측을 통과하는 경우 발생하기 쉽습니다. 태풍이 만의 동측을 통과하면 바람은 바다로부터 육지, 그리고 만 순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수위 상승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태풍과 황천항해시 조함법에 대한 글은 아래에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황천항해시 조선법 및 주의사항
황천시 조선법 Heave to 풍랑을 정선수 2 ~ 3점인 사선 방향으로 받게 하여 타효가 있는 최소의 속력으로 전진하는 조선법입니다. Slamming과 Green Water Flooding 현상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너무 감속할
gold-drilling-rig.tistory.com
'일등항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커(Anchor)의 파주력과 운용 (0) | 2023.07.15 |
---|---|
항내에서의 조선법과 영향요소 (0) | 2023.07.15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개요 및 처리방식 (0) | 2023.07.15 |
자이로 컴퍼스(Gyro Compass)의 오차와 수정방법 (0) | 2023.07.15 |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의 개요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