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등항해사

황천항해시 조선법 및 주의사항

by 만사무사 2023. 6. 28.

목 차


    반응형

     황천시 조선법

     

    Heave to

    풍랑을 정선수 2 ~ 3점인 사선 방향으로 받게 하여 타효가 있는 최소의 속력으로 전진하는 조선법입니다. Slamming과 Green Water Flooding 현상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너무 감속할 경우에는 보침이 곤란하여 Beam Sea가 될 위험이 있습니다. 선체의 길이가 길고 선수루가 높은 선박에서 유리한 조선법입니다.

     

    ▷ Slamming : 피칭(Pitching) 중에 선수부가 수면을 강하게 내려치면서 선체가 짧은 주기(1초 이하)로 급격한 진동을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선체가 과도한 응력을 받고 이로 인해 선수부 선저에 손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감속을 하여 피칭(Pitching) 및 히빙(Heaving)을 경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Green Water Flooding : 해수가 갑판 위로 올라와서 고여있는 현상입니다

    ▷ Beam Sea : 선체가 횡방향에서 파도를 받고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Scudding

    풍랑을 선미 Quarter 방향에서 받으며 파에 쫓기는 자세로 항주 하는 방법입니다. 

    장점으로는 선체가 받는 충격이 현저히 적으며, 속력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어 태풍의 중심에서 멀어지는데 유리합니다. 단점은 보침성이 저하되고 요잉(Yawing)이 심해져 Broaching으로 전복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또한, Pooping Down에 의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Yawing의 발생 원인 : 자체원인은 보침을 위해 타를 계속 조작해야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면경사로 인한 수위차 때문에 발생하는 정수압의 차이나 파랑수립자의 궤도운동, 동요운동으로 인한 세차운동, 그리고 항주 중 롤링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 Broaching : 파를 뒤에서 받으면서 항주 중에 선체 중앙이 파도의 마루나 오르막에 위치하게 되어 급격한 선수 동용와 함께 선체가 갑자기 파도와 평행하게 놓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선체와 파도가 만나는 주기가 아주 길어지는 경우 즉, 파도의 진행과 선박의 속력이 거의 같아지는 경우에는 타효가 없어지기 때문에 이 현상이 발생합니다. 파도가 갑판을 덮치고 대각도의 선체 횡경사가 유발되어 선박이 전복될 위험까지 있을 수 있습니다. 배의 길이가 파장과 거의 같고 속력이 빠른 소형 선박이나 컨테이너 선은 선미 파를 받지 않도록 침로를 유지하고 속력을 감속하여 조종해야 합니다. 

    ▷ Pooping Down : 스커딩(Scudding) 중에 선박과 파의 속력차가 적어서 파가 Poop Deck에 침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선속보다 파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서 Poop Deck에 엄청난 해수가 침입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Lie to

    황천 속에서 기관을 정지하여 선체를 풍랑하로 표류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더하여 과거에는 파랑을 진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해면에 유막을 형성하기 위해 선체 주변에 Strom Oil을 산유하기도 했습니다만 현재는 환경적인 문제로 운용하지 않습니다.

     

    그 밖에 구명정 및 200톤 미만의 어선에서는 Sea Anchor를 속구로 장비하여 선수에서 저항물을 내려 선수를 풍랑에 세워 Beam Sea로 인한 전박을 막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Racing 현상

    황천항해시 프로펠러가 수면 하에 완전히 잠기지 않고 높은 파도에 의해 수면상에 노출되어서 공회전하는 것과 같은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레이싱 현상은 선박의 피칭(Pitching)이 크게 일어나서 선미 하부가 수면상으로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레이싱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Heave to 항법 중에는 선속을 줄여서 피칭(Pitching) 각을 줄여야 합니다. 그러나 선속을 과도하게 줄이면 Beam Sea가 될 확률이 높아짐으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파랑을 선미 Quarter에서 받는 Scudding 항법을 이용하면 레이싱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Lurching 현상

    GM이 작고 F.S.M.이 큰 상태에서 불규칙적인 파가 오고 이때 대각도 타를 갑자기 쓰면 발생합니다. 롤링 중에 발생하게 되며 롤링과 함께 별개의 큰 파도가 겹쳐지면서 갑자기 불연속적인 큰 횡요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황천시 고려 및 조치사항

     

    정박 중 황천 예상시 고려 및 준비사항

    저기압 이동에 따른 풍향과 풍랑의 변화상태를 상시 주시하고 정박지의 강풍 및 Swell의 도래방향을 파악합니다. 또한 황천도래가 예상될 경우에는 사전에 현재 정박지의 신뢰도를 판단하여 현 상태로 피박 할 것인가 아니면 이동을 할 것인가를 미리 판단하여 조치해야 할 것입니다. 

     

    준비사항으로는 기관을 준비하고 상륙자가 있으면 모두 귀선 조치 시킵니다. 가능한 한 Ballast를 많이 실어서 배수량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하역작업을 중지하고 선체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이동물을 고박조치해야 합니다. 

     

    황천 항해시 조치사항

    항해 중 황천이 예상될 경우에는 저기압 또는 황천의 종류와 정도 등 기상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기상예보와 계절을 고려하여 현재 유지하고 있는 코스의 적합성을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자선의 감항성 정도를 판단하여 필요시 피항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부근의 지리조건 및 피난지 유무를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표 계류 중 황천이 도래했을 경우

    부표에 걸리지 않게 주의하면서 한쪽 닻을 투하합니다. 풍파가 강하게 되면 기관과 타를 사용하여 선수를 바람에 세우고 부표에 걸린 계류색에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