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선박안전관리사는 해양수산부 장관이 시행하는 국가자격시험으로, 선박의 안전운항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제도입니다. 선박과 사업장 안전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시행해야하는 선박소유자(안전관리대행업자 포함)는 2024년 1월 5일부터 선박과 사업장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선박안전관리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 중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해야 합니다.(해상교통안전법 제 47조)
현재 25년 상반기 시험은 이미 시행되어 5월 20일 합격자 발표를 앞두고 있지만, 다행히 하반기에 한차례 더 응시의 기회가 남아았습니다. 시험 정보 및 취업, 연봉까지 알아보고 함께 준비해봅시다.
선박안전관리사 시험
선박안전관리사는 해사안전법 개정(22년 1월 4일)에 따라 도입된 국가전문자격증으로 24년 1월 5일 이후부터는 이 자격증이 없으면 선박 안전관리 책임자나 관리자로 근무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시험은 해양수산부가 주관하여 해양수산연수원에서 시항하는 시험입니다.
하반기 시험일정
2025년 하반기 자격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은 8월 27(수) 부터 29일(금)까지 원서 접수가 진행되고, 9월 22일(월)에 면접시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면접은 1급과 2급 시험 응시자만 해당됩니다.
- 원서 접수 : 8.27(수) ~ 29(금)
- 필기 시험 : 해당 정보 없음(하반기 공고 확인 필요)
- 면접 시험 : 9.22(월)
시험등급
선박안전관리사는 1 ~3급으로 구분합니다. 3급은 응시 자격 제한이 없으며, 1, 2급은 해사 분야 관련 경력을 충족해야 합니다.
- 3급 선박 안전 관리사 : 응시 자격 제한 없음
- 1급, 2급 선박 안전 관리사 : 3급 자격 취득 후 2년 이상 경력, 3급 해기사 면허 취득 후 관련 경력 3년 이
- 해사 분야 관련 경력 : 선박 운항, 안전관리, 선박 관련 기술 등
시험 경쟁률
선박안전관리사는 시험의 경쟁률은 평균 3:1 ~ 5:1 사이로 형성되고 있으며 최근 해운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향후 응시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총 3,545명이 응시하여, 1,255명이 자격증을 취득하여 시험의 경쟁률은 35.4%로 나타납니다.
- 2023년 상반기 : 응시자 687명, 합격자 185명(경쟁률 3.7 : 1)
- 2023년 하반기 : 응시자 702명, 합격자 163명(경쟁률 4.3 : 1)
- 2024년 상반기 : 응시자 715명, 합격자 178명(경쟁률 4.0 : 1)
시험과목 및 내용
선박안전관리사 시험은 총 4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해사법규 : 해사안전법, 선박안전법, 선박직원법, 선원법 등, 국제해사협약(SOLAS, MARPOL 등)
- 선박안전관리론 : ISM Code, 안전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위험성 평가 및 관리
- 선박구조 및 설비 : 선박의 기본 구조 및 특성, 각종 선박설비 및 시스템, 선박 비상대응 장비
- 해운실무 : 해운기업 조직 및 경영, 선박운항관리, 선원관리 및 교육훈련
취업과 연봉
선박안전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나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취업분야 및 진로
- 해운회사 : 안전품질팀, 선박관리팀, 해무팀 등
- 선박관리회사
- 해사안전관리감독관 : 해양수산부 산하기관
- 선급협회 : 한국선급, DNV, ABS 등
- 해상보험사 : 손해사정, 위험평가 부서
- 해양환경 관련 기관 : 해양환경공단 등
- 해운중개업체 : 선박매매, 용선 관련 업무
평균 연봉
선박안전관리사의 연봉은 근무처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 신입(1 ~ 3년 차) : 3,500만원 ~ 4,500만원
- 경력(4 ~ 7년 차) : 4,500만원 ~ 6,000만원
- 관리자 급(8년 이상) : 6,000만원 ~ 8,000만원 이상
해외 취업시에는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싱가포르, 홍콩 등 해운 중심지에서는 국내보다 약 30 ~ 50%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는 경우가 있으니 잘 알아보고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마무리
선박안전관리사는 해운업계에서 안정적인 직업을 갖고자 하는 분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해양 관련 학과 졸업생이나 해기사 경력자들에게 유리한 자격증입니다만, 무경력자들에게도 열려 있는 자격이므로 관심있는 분들은 도전해볼만한 자격인 것 같습니다.
일년에 두차례 뿐인 시험이니까 관심있으신 분들은 미리미리 일정 확인하시고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일등항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사가 되자] 상선 승선을 위한 필수 자격, 전파전자 3급 통신사(GOC) 자격증 취득 방법 (3) | 2024.03.08 |
---|---|
앵커(Anchor)의 파주력과 운용 (0) | 2023.07.15 |
항내에서의 조선법과 영향요소 (0) | 2023.07.15 |
태풍(열대성 저기압)의 개요 (0) | 2023.07.15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개요 및 처리방식 (0) | 2023.07.15 |